Critical Reading - 언어의 특성에 대한 오해
언어는 study의 대상이지 learn의 대상이 아니다.
쪽집게는 한국의 교육환경에서 흔하게 쓰는 표현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주입식 학습에서 벗어나 창의적인 교육 환경에서 공부하고자 미국으로 유학온 학생들조차 쪽집게라는 단어를 쓰는 것을 볼 수 있다. 우리 사회에 만연한 잘못된 공부습관을 이보다 더 극명하게 보여주는 단어는 아마 없을 것이다.
SAT의 Critical Reading은 엄연한 언어 영역이다. 언어영역에서 해당 언어에 대한 최소한의 기초도 없이 답을 정확히 고를 수 있는 방법은 없다. 그나마 Sentence Completion부분 정도가 요령을 터득하면 답을 고르는데 도움이 된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요령마저도 SAT에 자주 출제되는 기초단어를 모르면 무용지물이다.
언어는 요령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공부의 대상으로 끝없는 노력을 기울여야만 한다. 만약 배우는 것만으로 끝낸다면 아무리 잘 가르치고 쪽집게 소리를 듣는 선생님에게 배운다고 해도 시간낭비가 될 것이다. 언어 영역을 학습한다는 것은 터득한다는 표현을 쓰고 있다.
마치 우리가 자전거나 수영을 배울 때 '아, 이렇게 하는거구나!'라는 느낌을 가질 때와 같은 것이다. Critical Reading도 이런식으로 터득하게 될 때 들쑥날쑥하던 점수도 안정화 될 것이다.
Writing
SAT Writing을 준비하는 적잖은 학생들이 마치 Essay만이 Writing의 모든 Section인것처럼 착각하는 경우를 본다. 심지어 문법 부문을 아예 빼놓고 가르치는 강사도 있다. 하지만 Essay 부분도 탄탄한 문법에 기초한 문장이 가장 좋은 점수를 받는다는 걸 간과해선 안된다.
Writing을 공부하기 전 한번쯤 기초문법에 대한 확실한 정리를 하면 Writing Section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Sentence Errors와 Sentence Improvement part에서 수월하게 고득점을 올릴 수 있다. 문제를 풀어보면서 문법을 배우는 것은 옳지 않다.
시중에 출제되는 대다수의 문제집을 모두 풀어도 한번 정리한 문법공부보다 효과적이지 않다. 그것은 마치SAT II History 문제집을 풀어보며 History를 배우려고 하는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Math - 기본을 무시한 문제 풀이위주의 학습
대부분 학생들은 자신들이 풀어본 수학 문제를 상당히 너그러운 마음을 가지고 채점한다. 예를 들면 실제로 5개의 문제를 틀렸는데도 실수로 틀렸다는 이유로 자신의 점수를 상향조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자세히 확인해보면 실수가 아니라 해당문제에 대한 이해의 결여에서 틀리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수학문제를 실수로 틀릴 순 없다. 그것은 자기기만일 뿐이다. 왜 그 문제를 틀렸는지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먼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계속 똑같은 개념의 문제를 틀리게 될 것이다. 실수일뿐이라며 자신의 부족함을 정당화하지 말아야 한다. 공부를 잘 하는 학생은 자신의 문제점에 대해 가혹하리만큼 철저하게 분석한다.
그 학생들에게는 잠시 느끼는 자기 위안보다는 시험에서 얻는 결실이 더 행복하기 때문이다. 자신이 틀린문제에 대한 철저한 비판과 자기 분석만이 좋은 점수를 얻는 유일한 쪽집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