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추천서는 참고자료일 뿐, 그 자체로 입학여부가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잘 써진 추천서를 읽은 입학사정관은 해당 학생에 대해 좋은 인상을 갖게 된다. 만약 학생의 성적이 합격 경계선에 있는 경우 추천서는 입학에 결정적인 역할을 알 수 있다.
한국에서 '추천서'하면 국회의원이나 유명인사가 써줘야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미 대학에선 누가 추천서를 썼느냐보단 내용을 더 중시한다. 한마디로 학생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이 객관적이고 구체적으로 학생에 대해 말해주는 것을 원한다. 따라서 학생들은 교사나 카운슬러에게 추천서를 받으러 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다보니 교사나 카운슬러 입장에서는 그 많은 학생들에게 일일히 추천서를 써주는 게 쉬운 일이 아니다. 학생에 대해 잘 알지 못하는 한 쓸거리 또한 별로 없다. 어떤 교사들은 너무나 '솔직'해서 안 좋은 평가를 내리거나 학생에 관해 잘 모른다고 쓰기도 한다. 따라서 평소에 교사 2~3명과 잘 사귀어 놓는 게 중요하다. 수업 후 질문을 준비해 찾아가는 등 적극적 자세를 보이는 것이 좋다. 추천서 부탁시 유의해야 할 점을 알아본다.
◈ 추천인을 신중히 골라라
가장 좋아하는 스미스 교사의 수업에서 A를 받았지만 더 열심히 노력한 존 교사의 수업에선 B+을 받았다고 하자. 어떤 수업의 교사에게 추천서를 받는 것이 좋을까? 믿기 어렵겠지만 점수는 비록 낮더라도 열심히 노력한 수업의 존 교사에게 추천서를 받는 게 낫다. 존 교사는 학생이 어려운 과목을 선택한 결단력에 대해 써줄 수 있기 때문이다. 수업을 도와달라고 청한 적이 있다면 교사는 적극적 학생으로 평가할 것이다.
반대로 스미스 교사에게 추천서를 받는다면 과목에 대한 학생의 우수한 능력을 증명해 주는 것 밖에 되지 않는다. 스미스 교사의 과목이 관심있는 대학 전공과 연관이 있거나 중요한 프로젝트 또는 페이퍼를 완수했다면 물론 스미스 교사에 추천서를 받는 것이 낫다.
샌프란시스코 대학 부속 고교 대학카운슬링 디렉터 존 라이더씨는 "지적으로 가장 많이 연결돼있고 특히 개인적 공부, 상상력 등을 요구하는 특별 프로젝트를 한 수업의 교사에게 추천서를 부탁할 것"을 권했다. 즉, 성적만 가지고 교사를 골라서는 안된다는 것. 수업에서 이룬 것과 교사와의 관계, 수업이 대학선택과 어떻게 맞는지도 추천서를 받을 교사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될 대상이다. 교사가 학생을 잘 모르거나 수업이 쉽기만 하다면 그냥 그런 보통의 추천서가 된다는 걸 명심하자. 정말 자신을 잘 아는 사람이 가장 좋은 추천인이다.
◈ 교사들에게 일찍 부탁해라
대개의 경우 교사들은 많은 학생들로부터 추천서를 부탁받는다. 따라서 가능한 일찍 부탁하는 것이 좋다. 교사가 올해 처음으로 쓰는 추천서라면 독창적이고 정성이 담긴 추천서가 될 수 있지만 10,15번째 쓰는 것이라면 아무래도 그 질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 좋은 기억을 환기시켜라
일부 고교 교사들은 1년에 100명이 넘는 학생들을 맡는다. 지난 학기 리서치 페이퍼에 자신이 선택했던 주제를 물어보는 등 교사의 기억력을 테스트하는 시도를 해서는 안된다. 교사에게 추천서 양식을 건낼 때는 △수업에 썼던 페이퍼 복사본 △ 교사로부터 들었던 수업리스트 △ 학업성취와 액티비티 요약 등을 첨부하는 것은 물론 교사의 수업과 대학진학에 관해 교사와 이야기를 해보는 것이 좋다.
가능하다면 자신이 대학에서 찾고 잇는 것과 수업에서 얻은 것을 연결시키면 좋다. 지원 마감 몇주 또는 몇달 전에 추천서를 부탁했다면 마감일 1,2주 전에 미리 진척상황을 확인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귀찮게 하지 말고 교사가 추천서를 끝마치는데 필요한 것이 있는지 정중하게 물어보고 마감일을 알려줘야 한다.
◈ 교사들의 노력에 감사하기
대부분의 학생들이 추천서 쓰는 게 뭐 그리 어려울까 생각하지만 추천서 작성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교사들은 자신의 학생이기 때문에 추천서를 써주는 것이다. 따라서 교사에게 감사노트를 써서 보내는 것이 예의다. 감사표시를 뭔가 더 하고 싶을 땐 집에서 만든 쿠키를 노트와 함께 보내는 것도 좋은 아이디어다.